본문 바로가기

평론/비평

디아스포라의 고백들(조동범 평론집)

현장감 있는 목소리가 우리 시의 다채로운 국면을 예리하게 파헤친다.

시인 조동범의 첫 번째 문학평론집

'디아스포라의 고백들'


시집 '심야 배스킨라빈스 살인사건'(문학동네, 2006)을 통해

정교한 묘사력을 선보인 바 있는

시인 조동범님의 첫 번째 문학평론집입니다.

 

조동범님의 시평론은 정교한 이론과 함께 창작자의 입장을 포괄함으로써

감각적인 시 읽기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디아스포라의 고백들'에서 작가님는 원로 시인의 작품부터 80년대생 시인들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현재진행형인 우리 시의 목소리를 정치하게 분석했구요.

이 책은 콜테스의 희곡 '목화밭의 고독 속에서'를 제외한 전편이 시평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총3부로 이루어져 있는 '디아스포라의 고백들'은

전위적인 작품부터 서정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제1부는 박상순, 황병승, 이민하, 김경주, 최승호, 기형도 등의 시와

콜테스의 희곡에 대한 평론으로 이루어져 있구요.

특히 기형도님의 시를 분석한 글에는

시집에 수록된 기형도 시인님의 작품을 등단 이전의 초고와 비교함으로써

기형도 시 언어의 변모를 파악하기도 했습니다.

시 이외의 평론으로는 유일하게 콜테스의 희곡이 수록되었는데,

콜테스의 희곡이 시적 상징으로 가득하다는 점에서 조화를 이루네요.


제2부는 계간평과 시집 서평을 중심으로 묶었습니다.

계간평과 시집 서평을 통해 독자들은 생생한 우리 시의 현장과 만날 수 있습니다.

작가님은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들을 꼼꼼하게 읽어냄으로써

우리 시단의 현재를 예리하게 포착했습니다.

 

제3부는 개별 시편에 대한 단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작가님은 개별 시편에 대한 분석적인 글을 통해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네요.

 

-조동범 시인님-

 

[작가님의 말]

시인들의 여정을 따라가며 만난 세계의 아름답고 처연한 풍경은

그 자체로 우리 시의 다채로운 국면이자 재연이었다.

지난 몇 년간 발표한 글을 묶는다. 

이 책에 담긴 글은 그동안 읽어온 시에 대한 기록의 일부분이다. 시인들의 여정을 따라가며 만난 세계의 아름답고 처연한 풍경은 그 자체로 우리 시의 다채로운 국면이자 재현이었다. 

이 책은 시인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오롯이 담아내려는 노력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필자는 어떠한 편견도 없이 다양한 시적 세계를 수용하고자 노력했다. 

시의 언어는 정처 없는 우리 삶의 상처와 결핍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상처와 결핍이 드러내는 시의 발화 방식은 제각각 다르지만, 그것으로부터 시의 세계가 열린다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결국 시와 시인은 상처와 결핍을 짊어지고 끝없이 떠돌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그런 점에서 시의 세계와 시인의 운명은 디아스포라의 세계와 다르지 않은 것이다. 

이 책은 디아스포라의 정처 없음과 같은, 시적 여정에 대한 기록이며 동시에 시의 언어가 전하는 은밀한 고백이기도 하다. 감춰진 시의 세계를 호명한 것은 필자이지만 각각의 시편들은 이미 그 자체로 상처와 결핍의 대한 고백을 전해준다. 시가 드러내는 고백의 언어를 통해 우리는 상처와 결핍이 주는 정서적 충만을 경험하게 되며, 그것은 시를 읽으며 얻게 되는 소중한 기쁨이다.

언제나 창작자로서의 자의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비평적 태도를 통해 좀 더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적극적으로 작품을 찾아 읽게 된 것도 의미 있는 소득이었다. 마감 때마다 나를 고민하게 만들었던 작품과 그 작품의 시인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내가 그들에게 좋은 독자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최선을 다한 독자였다고는 말하고 싶다.

  

[ 책 속으로 ]

 여기, 언어가 있다.

시인의 발성인 언어는 문자를 통해 하나의 기호가 되고 기호가 지니는 외연은 언제나 그것이 포괄하고 있는 내부의 상징을 지향한다. 하여, 시인의 언어는 기표를 통해 상징의 세계로 날아가고, 상징이 된 언어는 다양한 기의가 되어 폭넓은 외연을 구축한다. 시인의 언어는 언제나 다양한 지평과 지향점을 통해 자신의 세계를 추구하고 완성한다. 그러나 시인의 언어는 상징이 내포하고 있는 유사성을 통해 유형화된 것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유사성과 차이를 전제로 한 시의 언어는 언제나 명백하며 동시에 모호하다.

여기, 하나의 언어가 있다.

해체된 시적 세계와 의미의 낯선 영역을 지향하는, 시적 상징의 긴장으로 가득한 언어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박상순은 해체된 시적 세계를 지향하는 시인이며 그가 드러내는 세계는 상징의 극단을 향해 나아간다. 이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명백한 사실’은 널리 알려진 것이지만 그의 시를 읽는다는 것은 언제나 이러한 ‘명백한 사실’을 전제로 해야 한다. 

―<추상적 여백의 세계와 비극적 상징의 숲> 중에서



#디아스포라의고백들, #디아스포라, #조동범, #조동범시인, #작가와비평, #문학평론집, #박상순, 황병승, #이민하, #김경주, #최승호, #기형도, #시인, #디아스포라의고백들, #디아스포라, #조동범, #조동범시인, #작가와비평, #문학평론집, #박상순, 황병승, #이민하, #김경주, #최승호, #기형도, #시인, #디아스포라의고백들, #디아스포라, #조동범, #조동범시인, #작가와비평, #문학평론집, #박상순, 황병승, #이민하, #김경주, #최승호, #기형도,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