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썸네일형 리스트형 작가와비평 13호(2011년 6월) [작가와비평 13호를 발간하며] 이번 호 특집은 이다. 새삼 이 시대 ‘작가’의 존재론에 대해 묻는 이유는 각론의 필자들의 펼쳐놓은 이야기 속에 들어있다. 정의진의 은 최근 이슈가 되었던 시나리오 작가 최고은의 죽음에서 출발하여 ‘작가의 사회적 위상’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글이다. 그는 작가, 곧 예술가가 국가나 후원자의 재정적 도움에 의지해서 살아가던 봉건 시대가 마감된 뒤, 자유와 생존적 위기를 동시에 끌어안은 작가의 운명, 즉 근대 ‘사회 비판의 담지자’로서의 작가와 근대 자본주의 출판 시스템에 종속된 작가의 존재를 역사적 맥락에서 추적하고 그 역설의 현장을 진이정에서 살피고 있다. 그에 의하면, 진이정, 또는 최고은 등은 반사회적 사회성의 담지자로서의 작가와 그로 인한 물질적 불편의 자발적 감수자..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