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론/비평

부재의 수사학(이재훈 평론집/ 작가와비평 발행)

시인들이 다양한 양상으로 벌이고 있는


유토피아의 꿈, 현실과의 적극적인 싸움, 내면에의 침잠, 사물에 대한 깊은 사유 등을


꼼꼼히 추적하면서 시가 가진 성찰의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



 

 

  

부재의 현실 속에서

우리가 갈급하고 있는 사유와 정서를 탐색하다!

 

2012년 한국시인협회 젊은시인상을 수상하며 시단의 촉망받는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재훈 시인이 두 번째 평론집을 출간하였다. 이재훈 시인은 첫 번째 시집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 두 번째 시집 <명왕성 되다>를 통해 자기만의 독특한 상상력으로 시단에 활기를 불어 넣고 있는 시인이다. 이재훈 시인은 시뿐만 아니라 비평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이미 2008년 <딜레마의 시학>이라는 평론집을 통해 시인만이 볼 수 있는 시의 다양한 풍경들을 내밀한 목소리로 표출한 바 있다.

이번 평론집에서는 공분의 시대에 시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 이재훈 시인은 이미 여러 평론을 통해 부재의 현실을 타파할 수 있는 성찰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말한 바 있다. 이번 평론집은 부재의 현실을 넘어서려는 여러 가능성들을 한꺼번에 보여주고 있는 집적물이라 할 만하다. 필자의 말대로 '부재의 수사학'은 부재의 현실을 통해 우리가 목말라하고 있는 사유와 정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개념어이다. 필자는 각기 시인들이 다양한 양상으로 벌이고 있는 유토피아의 꿈, 현실과의 적극적인 싸움, 내면에의 침잠, 사물에 대한 깊은 사유 등을 꼼꼼히 추적하면서 시가 가진 성찰의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제1부는 부재의 시적 현실에 대한 나름의 양상들을 담은 글들이다. 현실과 기독교적 영성의 세계가 어떤 접합점으로 모이고 있는 지에 대한 탐구, 문명인으로 살아가는 구체적 삶의 양태가 시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몰입과 탕진의 세계가 현실에서 어떤 자구책을 구하고 있는지에 대한 탐구, 금강을 젖줄로 삼은 충청 지역의 시인들에 대한 비평 등을 담았다.

2부는 다양한 시집에 대한 내밀한 비평서이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출간한 시집들에 대한 나름의 분석적 비평이다. 허만하, 마종기, 정희성, 신현정, 장석주, 김요일, 손택수, 박진성 등의 시집에 대해 시인만이 감각할 수 있는 시의 속살을 읽어내고 있다.

3부는 시집에 수록된 해설들이다. 필자는 최근 출간되는 시집의 해설을 많이 써왔다. 시집의 뒤에 붙는 해설은 일반적인 비평과 다른 성격을 가진다. 시인이 한 권의 시집을 출간하기까지의 시적 여정을 같은 시인의 입장에서 들여다보려고 했다. 시인은 한 권의 시집을 내기까지 지난한 정신적 역경과 파고를 지닌다. 그 흐름을 함께 공유하고, 느끼려 했던 기록물이다. 조현석, 박남희, 신혜정, 하상만 시집 등 11권 시집의 해설을 살펴볼 수 있다.


===============================================

도서명: 부재의 수사학

지은이: 이재훈

펴낸곳: 작가와비평

신국판(152×224) / 304쪽 / 값 14,000원

발행일: 2012. 06. 10.

ISBN: 978-89-97190-32-4 93810

===============================================

 

  목 차

 

 

책머리에: 저자의 말


<제1부>

 

시적 현실과 영성의 세계
아가미로 숨쉬는 문명인의 일상
공시적 맥락에서 본 금강의 시적 흐름
몰입과 탕진의 시적 재현

 

<제2부>

 

물과 질량의 시학: 허만하 시집 <바다의 성분>

통찰의 시학: 임강빈 시집 <이삭줍기>, 마종기 시집 <하늘의 맨살>

고요한 내레이터와 신명나는 퍼포먼스: 정희성 시집 <돌아다보면 문득>, 신현정 시집 <바보사막>

부재의 시학: 장석주 시집 <몽해항로>, 최준 시집 <뿔라부안라뚜 해안의 고양이>

소통의 연애사: 김요일 시집 <애초의 당신>, 손현숙 시집 ,<손>, 김성대 시집 <귀 없는 토끼에 관한 소수 의견>

극진한 통찰과 결기(決起): 손택수 시집 <나무의 수사학>, 이기인 시집 <어깨 위로 떨어지는 편지>

상처의 경제학: 박진성 시집 <아라리>, 신정민 시집 <꽃들이 딸꾹>

통각을 딛고 일어서는 성찰의 시학: 고석종 시집 <말단 형사와 낡은 폐선>

 

<제3부>

소외와 말줄임의 수사학: 조현석 시집 <울다, 염소>

공중에 풀린 영원성의 시학: 박남희 시집 <고장 난 아침>

상처받은 꽃말과 몸말의 소리: 한문석 시집 <바람개비>

관계의 복원에서 상생의 열림으로: 조혜전 시집 <기린산방>

그리움으로 향하는 꽃길의 시: 강수완 시집 <꽃, 모여서 산다>

농담의 수사와 할(喝)의 시학: 황상순 시집 <농담>

그저 달콤하기만 한 문명의 정치학: 신혜정 시집 <라면의 정치학>

고통을 딛고 일어선 비상의 꿈: 손계정 시집 <솔개>

신생의 꿈을 향한 시적 순례: 이민화 시집 <화몽>

역전(逆轉)을 통한 비움의 길 찾기: 엄혜숙 시집 <도문(道門)>

흔적의 시학: 하상만 시집 <간장>

 

인명 찾아보기

 



#이재훈, #작가와비평, #허만하, #마종기, #정희성, #최준, #손현숙, #장석주, #김요일, #손택수, #이기인, #박진성, #신정민, #고석종, #조현석, #박남희, #한문석, #조혜전, #강수완, #황상순, #신혜정, #손계정, #이민화, #엄혜숙, #하상만, 

 

 

  작가 소개

 

 

 

 

   이재훈

 

   1972년 강원 영월 출생.
   1998년 <현대시> 신인상으로 등단.
   2012년 한국시인협회 젊은시인상을 수상.
   시집으로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문학동네, 2005),

   <명왕성 되다>(민음사, 2011), 지은 책으로 <현대시와 허무의식>(한국학술정보, 2007),

   <딜레마의 시학>(국학자료원, 2008), 인터뷰집 <나는 시인이다>(팬덤북스, 2011)가 있다.

   중앙대, 경기대, 열린사이버대, 숭의여대에서 글쓰기와 문학을 강의했다.

   현재는 건양대, 서울과학기술대에서 강의하면서 <현대시> 부주간, <시와세계>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